Soultana-Maria Valamoti

무화과는 천연 당분의 원천으로, 선사 시대 이래로 그리스에서 재배되어 왔습니다. 신석기 시대(기원전 7천년~4천년경) 사람들은 무화과를 채집하여 말린 뒤 연중 소비하였는데, 이는 특정 선사 시대 고고학 유적지에서 무화과가 높은 밀도로 발견된다는 사실을 통해 입증됩니다. 미케네인들은 무화과 재배에 깊이 관여했으며, 무화과는 미케네 궁전의 노동자에게 배급되거나 제례의 일부로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무화과와 무화과나무에 대한 언급은 그리스 문학 전반에 걸쳐 풍부하며, 그 시작은 기원전 8세기의 호메로스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선형문자 B 점토판은 미케네인들(기원천 2천년대 후반 경)이 무화과를 포도밭과 연관지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두 작물은 포도넝쿨이 자라며 무화과나무에 기대게 하는 식으로 함께 재배되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무화과와 포도나무는 라에르테스와 같은 오디세이아의 신화적 영웅의 정원에도 등장합니다. 두 작물 사이의 연관성은 역사 시대에도 계속된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6세기에 히폰낙스는 검은 무화과가 포도넝쿨과 짝을 이룬다고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무화과와 포도를 함께 재배하였다는 사실은 무화과와 포도씨를 함께 사용하는 레시피에서도 잘 드러납니다. 이는 무화과가 생과나 건조한 것 외에도 다른 방식으로 소비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헤시키우스(기원후 6세기)에 따르면, 고대 사람들은 무화과와 ‘기가르타’(gigarta, 포도씨)를 섞어 오븐에 구운 과자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 과자는 ‘롤론(lolon)’이라고 알려졌으며, 폴룩스의 오노마스티콘(기원후 2세기)에서도 언급됩니다. 헤시키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롤론은 아이들에게 식사로 자주 제공되었는데, 달콤한 맛 덕분에 큰 인기를 끌었을 것이 분명하며 오늘날 아이들이 먹는 비스코톨루쿠마에 비해 훨씬 건강한 대안이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희극시인 크라티누스(기원전 5세기)는 ‘콥티 이스하다(kopti ischada)’라는 것을 언급하는데, 이는 말려서 간 무화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며 현대의 무화과 과자인 시코마이다를 떠올리게 합니다. 로마의 작가 콜루멜라(기원후 1세기)는 그의 저작 농업론에서 이러한 조리법을 상세히 기록해 남겼습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잘 익은 무화과를 수확해 햇볕에 며칠 동안 말린다고 합니다. 그리고, 말린 무화과를 발로 밟아 으깨고 구운 참깨, 아니스, 쿠민, 펜넬씨와 섞어 작은 덩어리를 만들고 무화과 잎에 싸서 단단히 묶고 갈대 위에 펼쳐 햇볕 아래 말린 다음 마지막으로 타르를 칠한 용기에 보관한다고 합니다.

달콤한 무화과는 오늘날 그리스 전역에 걸쳐 계속 재배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오니아 제도, 크레타 등지에서는 으깬 무화과 덩어리인 시코마이다의 독자적 버전을 전승하고 있는데, 이러한 레시피는 금방 말린 무화과를 균질한 페이스트가 되도록 으깬다는 점에서 고대의 롤론을 연상케 합니다. 차이는 포도씨 대신 현대식 시코마이다는 향신료와 지역에 따라 참깨를 넣어 만든다는 점입니다. 현대식 시코마이다는 오히려 로마식 레시피와 더 유사하며, 특히 코르푸에서는 여전히 무화과 잎에 싸는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림 : 무화과 잎에 싸인 코르푸 시코마이다, 코르푸, 2021. S.M. Valamoti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