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ltana-Maria Valamoti
신석기 시대 수천 년 동안 포도, 무화과, 블랙베리, 야생배 등 다양한 과일이 재배되었지만, 석류는 선사 시대 그리스에서 비교적 늦게 재배되기 시작했습니다. 석류나무는 청동기 시대 남부 그리스에서 간헐적으로 발견되며, 석류나무의 목재가 산토리니의 아크로티리에서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석류나무는 카스피아해 남쪽 지역의 에게해 분지에서 유입되어 무역을 통해 전해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디세이아(기원전 8세기)에서는 석류를 올리브, 무화과, 배, 사과 등 다른 과일나무, 포도넝쿨과 함께 알키노오스의 과수원에서 재배되는 식물로 언급합니다. 호메로스는 석류가 탄탈루스가 영원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는 하데스의 과수원에서도 재배된다고 기록합니다. 석류나무의 과일은 저승과 현세를 잇는 매개물로 데메테르에게 바치는 호메로스 찬가에 따르면 하데스는 페르세포네에게 달콤한 석류씨를 맛보게 하여 자신에게 돌아오도록 만들었다고 합니다. 호메로스 이후, 석류를 언급한 유일한 고대 문헌은 아이스킬로스(기원전 6~5세기)의 글입니다. 석류나무와 석류에 대한 언급은 기원전 5세기에 더 많아지며, 주로 씨앗과 껍질의 치료 효능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페르세포네에게 주어졌던 석류씨는 꿀처럼 달콤하다고 묘사되어 있지만, 아이스킬로스는 새콤달콤하다고 묘사했습니다. 따라서 오늘날처럼 이미 고대에도 달콤한 석류, 새콤한 석류 등 다양한 종류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곡물이나 콩 등 고대에 재배된 다른 작물이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전혀 비현실적인 추측이 아닙니다.
희극시인들은 식재료 목록에 석류를 포함하는 일이 많았으며, 실제로 패러디 작가 마트론(기원전 4세기)는 석류를 배, 사과, 포도와 함께 식후에 먹는 디저트 목록에 포함시켰습니다. 히포크라테스 문헌에서도 약제 배합식에 석류가 자주 언급됩니다. 여기에서도 석류는 달콤한 석류, 새콤한 석류, 와인과 유사한 석류 등으로 구분됩니다. 후자의 경우 껍질 속에서 당분이 발효하기 시작한 과숙한 열매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날 석류나무는 계속하여 그리스 농촌의 과수원은 물론 도심지에서도 자라고 있으며, 5~6월에 꽃을 피우고 가을에 과일을 맺을 때 화려한 장식이 되어줍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석류나무는 체계적인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석류즙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석류의 달콤한 씨앗을 사용한 전통 레시피로는 판스페르미아의 일종인 바르바라(Varvara)와 산 자와 죽은 자, 그리고 신성을 연결해 준다는 의미로 특별한 날에 제공되는 과자인 콜리바(kolyva)가 있습니다. 이는 하데스와 페르세포네 사이의 석류씨 이야기에서도 드러나듯 삶과 죽음을 잇는 과일이라는 상징이라는 석류의 고대적 의미를 다시 떠올리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