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ltana-Maria Valamoti

현대 그리스에서 참깨 대신 양귀비씨로 만든 파스텔리나 다른 디저트는 다소 특이해 보일 것입니다. 도시나 지역 요리나 디저트에서 재료로 양귀비씨를 사용하는 일이 매우 드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고대 문헌과 고식물학 유적에 따르면 양귀비씨는 고대 그리스 요리에서 특히 인기가 많은 재료였으며, 디저트에서 더욱 인기가 많았다고 합니다. Papaver somniferum 종의 양귀비는 유럽의 신석기 공동채에서 아편을 채취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재배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리스에서는 고고학적 연구 결과 양귀비가 기원전 약 2쳔년대부터 특히 북부 지역에서 재배되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지역에서는 다량의 양귀비씨가 발견되었습니다.

아편용 양귀비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등장하는 비유에서 찾을 수 있으며, 양귀비와 빵의 관계는 기원전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알크만의 시구에서 확인되며, 그는 여기에서 마코니아스(makonias) 빵을 언급합니다. 고대 문헌은 양귀비씨가 제빵과 제과에 모두 사용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디오스코리데스(기원후 1세기)는 약물에 대하여에서 하얀 씨앗을 맺는 양귀비 종에 대한 기록을 남겼으며, 이는 바로 그 씨앗을 얻기 위하여 경작되는 것이었습니다. 양귀비씨는 건강한 식단의 일부로 빵에 넣고 굽거나 참깨 대신 꿀과 섞어 사용되었습니다. 이에 대해서 투키디데스(기원전 5세기)를 빼놓을 수 없는데, 그는 양귀비씨와 꿀의 마리아주를 언급하며 이 조합이 펠로폰네소스 전쟁 당시 스팍테리아를 수비하던 스파르타 호플리테스들의 보급품이었다고 기록합니다. 기원전 4~3세기의 희극시인들이 남긴 여러 시구에서 양귀비씨가 언급되며, 한 예시로는 유프론(기원전 3세기)의 단편에서 열두 개의 양귀비씨를 뿌린 무를 묘사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 이미지에는 아이러니가 담겨 있지만, 양귀비씨는 또한 꿀로 만든 과자(‘멜리펙톤(melipekton)’의 재료로 등장하거나 소파테르(기원전 4~3세기)의 시구에서 등장하는 양귀비씨를 넣은 ‘콥테(kopte)’의 재료로 언급되었습니다. 히포크라테스 문헌(기원전 5~4세기)은 양귀비씨의 풍부한 영양과 강화 효능, 그리고 치유적 특성을 묘사합니다. 필론(기원전 3~2세기)은 에피메니데스의 잘 알려진 레시피를 인용하며 다양한 재료와 함께 양귀비씨가 포함된 레시피를 설명하는데, 이는 고대식 ‘에너지 바’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양귀비씨를 넣은 빵이나 과자, 혹은 참깨를 대신해 양귀비씨를 넣은 특별한 종류의 파스텔리가 고대 그리스에서 소비되는 모습을 상상하는 것은 결코 무리가 아닙니다. 오늘날 양귀비씨를 넣은 빵이나 디저트를 먹어보고 싶다면 그리스 북쪽으로 멀리 여행하여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특정 중앙 유럽 국가 등을 찾아보아야 합니다. 다른 재료나 레시피와 달리, 양귀비씨는 세월이 흐르며 그리스 요리에서 점차 자취를 감춘 것 같습니다.

그림 : 양귀비씨를 넣은 과자, 리투아니아 빌뉴스, 2025년 4월. S.M. Valamoti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