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ltana-Maria Valamoti

다른 콩류와 달리 루핀콩은 그리스 농업의 초기부터 재배되던 작물은 아닙니다. 신석기 시대 유적지의 고고학 발굴의 결과 루핀콩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후 청동기 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래도록 계속하여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유일한 예외는 산토리니의 아크로티리(Akrotiri)로, 이곳에서는 루핀콩이 산토리니 파바빈 몇 알 사이에 섞여 있는 채로 발견되었습니다. 이처럼 루핀콩은 렌틸콩이나 산토리니 파바빈(Lathyrus clymenum)과 달리 고대 그리스의 식단에 한참 후에 편입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루핀콩을 테르모스(thermos)라 불렀습니다. 이 단어는 고대 문헌에서는 자주 등장하는 반면, 선사 시대의 고식물학 자료에서는 아주 드물게 등장합니다. 가장 이른 언급은 히포크라테스 문헌(기원전 5/4세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 문헌에서는 루피콩이 콩류 중 건강에 가장 덜 해로운 것으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동일한 문헌에서는 루핀콩이 신체의 원기를 회복하고 따뜻하게 만든다고 하면서도, 가공을 통해 가볍고 상쾌한 음식으로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기원전 4세기의 희극에서 발췌한 구절에 따르면, 루핀콩은 대중적으로 소비하는 식재료였다고 합니다. 루핀콩의 특징적인 쓴맛으로 인해 고대 그리스의 문헌에서는 달콤하고 먹을 수 있게 만들려면 물에 불려야 한다고 언급합니다. 더욱 생생한 묘사는 기원전 4/3세기의 철학자 키티온의 제논의 글에서 찾을 수 있는데, 그는 평소에는 엄격하던 성품이 와인을 마셨을 때에만 부드러워진다는 자신의 주사를 물에 불려 부드러워진 씁쓸한 루핀콩에 비유했습니다. 기원전 2세기의 기록에 따르면, 루핀콩은 아테네의 무역 규제 대상이었다고 합니다. 스파르타에서는 폴레몬(기원전 3/2세기)에 따르면 루핀콩은 리실라이데스(lysilaides)라 불렸다고 합니다. 실제로 기원전 약 2/1세기에 작성된 사학자 몰피스의 저작은 루핀콩을 스파르타의 축제 만찬인 코피스(kopis)와 연관지으며, 다른 무엇보다도 손님들에게 루핀콩을 대접했다고 기록합니다. 키니코스 학파의 철학자인 크라티스(기원전 4/3세기)는 자유란 주머니에 루핀콩 한 줌을 넣고 다니며 그 외 모든 것에 무관심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여기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여러 기록에도 불구하고, 루핀콩이 고대 그리스의 식단에 언제 도입되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합니다. 기원전 2~1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마케도니아 베르기나의 아크로폴리스에서 이루어진 고식물학 연구에서는 탄화된 루핀콩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그리스 북부 및 남부 전역으로 루핀콩이 퍼졌음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오늘날 루핀콩은 마니에서 제한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이곳에서는 루핀콩을 자루에 담은 다음 며칠간 물에 담가 쓴맛을 제거합니다. 루핀콩은 사순절, 특히 정결 월요일에 정기적으로 먹는 식재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