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ltana-Maria Valamoti
오랜 역사를 지닌 콩류인 렌틸콩은 기원전 7천년 또는 그 이전부터 그리스에서 인간 식단의 일부였으며, 이는 프란크티 동굴에서 발견된 몇 개의 탄화된 씨앗을 통해 증명됩니다. 화덕에서 요리하던 중 태워버렸거나 선사 시대 유적지가 화재로 파괴된 결과로 만들어진 탄화된 렌틸콩 씨앗은 아마도 신석기 및 청동기 시대의 고고학적 지층에서 가장 자주 마주치는 콩류일 것입니다. 렌틸콩은 고대 그리스 문헌에서도 씨앗(파코스, phakos) 또는 고대에도 오늘날과 같이 파키(phaki)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 렌틸콩 수프의 형태로 자주 등장합니다. 수프 외에도, 렌틸콩은 고대 그리스에서 잘 알려진 에트노스(etnos)라는 걸쭉한 죽으로도 만들 수 있으며, 이는 파이니아스(기원전 4세기)의 작품에서 등장합니다. 간 렌틸콩은 파키노스 아르토스(phakinos artos)라 알려진 빵의 일종에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렌틸콩은 때때로 껍질을 벗긴 보리를 기반으로 만든 요리인 프티사니(ptisani)와 결합되어 서기 2세기 갈레노스가 언급한 것처럼 고대에 파콥티사니(phakoptisani)로 알려진 요리가 되었으며, 이는 오늘날의 렌틸콩과 쌀 요리(파코리조, fakoryzo)와 다소 유사한 요리입니다.
수프로 조리된 렌틸콩은 고대 그리스에서 주로 무스카리속에 속하는 야생 식물의 구근과 함께 섭취하기도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고대에 이 요리는 볼보파키(volvophaki)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습니다. 볼보파키는 아테나이오스가 인용한 기원전 3세기 철학자 크리시포스에 의해 언급됩니다. 크리시포스는 볼보파키를 칭송하며 이 요리를 추운 겨울에 먹는 것은 암브로시아를 맛보는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 문헌을 살펴보면, 구근은 희극(예: 아리스토파네스의 민회의 여인들) 속 음식 목록과 히포크라테스 전집에 등장하는 등 고대에 진미로 여겨진 것이 분명합니다. 구근을 나타내는 고대 단어는 현대와 동일한 볼보이(volvoi)입니다. 오늘날 크레타에서는 현지에서 아스코르둘라코이(askordoulakoi)로 알려진 Muscari comosum의 구근을 채취하여 보존을 위한 가공을 거친 후 다양한 재료와 조합하여 섭취합니다. 여기에는 콩류의 씨앗과 구근을 짝지어 만드는 고대의 볼보파키를 매우 닮은 요리도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 크레타 레시피에서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소비했던 구근인 아스코르둘라코이에 렌틸콩이 아닌 삶은 잠두를 곁들입니다.
사진: 구근을 곁들인 렌틸콩 수프. S.M. Valamoti 촬영, 2025년 4월